세계의 면화시장의 장기적 전망(The World Cotton Market - A Long Term Outlook)
- 전문가 제언
-
□ 세계의 방직용 섬유 소비는 2002년 기준 5,200만 톤에서 2010년에는 6,200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중에서 면화의 소비는 2003년 기준 2,100만 톤에서 2010년에는 2,360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 같은 면화 소비에 대비해서 면화 생산은 2001~2002년에 2,150만 톤이 되었으며, 향후 7년간 소비와 같은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
□ 중국은 면화의 최대 생산국은 중국이며, 최대 수입 소비국이기도 한다. 면화의 주소비국가인 중국, 인도, 파키스탄, 미국, 터키 및 브라질의 6개국이 세계 소비량의 51%를 차지하고 있다.
□ 면화의 최대 생산국인 중국은 1980년대에는 370만 톤을 생산하였으나 생산 기술의 향상과 병충해 예방 및 경작면적의 증가 등으로 1991~1992년의 생산량은 570만 톤까지 증가하였다. 면화는 중국 이외에 미국에서 400만 톤, 인도에서 300만 톤, 파키스탄에서 220만 톤, 아프리카제국에서 180만 톤, 브라질에서 100만 톤, 터키에서 90만 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40만 톤, 라틴아메리카(브라질 제외)와 카리브제국에서는 1990~1991년의 100만 톤에서 2002~2003년에는 24만 5,000톤으로 추락하였으며, EU국가에서 30만~47.5만 톤을 생산하고 우즈베키스탄 등 기타 지구의 북반구지역, 즉 비가 적고 수로 및 관계시설 등이 잘 되어 있는 곳에서 면화의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 면화의 국제적인 가격의 예측은 아주 대단히 어려운 사항이다. 그리고 중국의 면화에 대한 정책에 따라서 국제적인 가격이 큰 폭으로 변동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일 중국의 면화 경작정책이라든지 또는 무역정책에 따라서 수입을 증대할 경우 5만 톤마다 약 1센트 이상의 가격 상승이 예상되고, 이와 반대일 경우도 동일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오늘날 각국의 면화정책 특히 미국의 면화 경작 지원정책의 특별한 변혁이 없는 한, 향후 5~7년간은 파운드당 50센트 내지 60센트(거래기준등급) 범위 내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한다.
- 저자
- Carlos A. Valderr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665)
- 잡지명
- 일본방적월보(L13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6~38
- 분석자
- 김*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