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올레핀계 수지의 개질

전문가 제언
□ 폴리프로필렌(PP)은 범용수지 중에서도 가장 사용 용도가 확대되어 성장률이 현저한 수지의 하나이다. 그 배경에는 PP의 특징인 경량, 강성, 내열성, 내약품성, 성형가공성이 기여하고 있고, 탄생한 지 50년의 역사를 경과한 지금도 고체촉매의 개량기술 발전으로 인해 고성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용도로서 사출성형에서는 PP 복합재료를 포함하여 가전, 자동차, 공업부품으로 ABS, 폴리우레탄, 나일론, PPE 등의 대체가 활발하고, 시트(sheet) 분야(PVC의 대체), 발포 분야(폴리스티렌의 대체), 블로(blow) 분야(PET의 대체)도 침식해가는 추세이다. 단위 수지로는 생산량 면에서 점점 최대를 나타내고 있다. 향후에도 환경문제의 과제인 경량화, 리싸이클성, LCA의 관점으로부터 많은 분야에서 PP화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프로세스의 대형화, 간소화에 의한 생산성 향상이 예견됨으로 경쟁력 있는 수지로서 기대 된다.

□ 1950년대에 Ziegler-Natta 촉매에 의해 상업화된 PE는 현재로서도 아직 최대 생산규모의 범용수지로서 군림을 계속하고 있다. 그 후 1980년대에 Kaminsky 등에 의하여 발견된 메탈로센 촉매는 PE의 고기능화, 제조범위의 확대에 있어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 균일촉매와 중합기술에 의해 DOW, EXXONMOBIL 등 복수의 메이커에 의하여 엘라스토머 영역까지 포함한 다종다양한 개발이 전개되고 있다.

□ 한국의 경우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생산량은 일본의 그것 보다 많은 양이다. 다른 점은 일본의 경우 내수가 중심이나 한국의 경우에는 약 50% 가까이가 특히 중국 등으로 수출된다는 점이다. 신제품 개발의 경우 일본과 수준이 동등하다고는 볼 수 없으나 국내 각 메이커들도 끊임없이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결국은 가격, 품질, 기능 사이의 균형이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미래를 고려한 신제품 및 신공정 개발에 독자적인 실력을 배양하는 것의 한국 업계의 남은 과제이기도 하다.
저자
Masayuki Arai ; Hiroyuki Maeha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50(10)
잡지명
Plastics age(D045)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2~76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