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개재물 평가기술의 최근 동향(Recent Advances of Evaluation Methods for Non-metallic Inclusions in Steel)
- 전문가 제언
-
□ 강(鋼)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물을 위시한 비금속 개재물은 성형 시에 균열과 피로파괴의 기점이 되고 성형성과 피로수명의 열화를 일으킨다. 압연 시에 발생하는 선상(線狀) 결함의 원인이 되는 등 제품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막대한 손실을 끼칠 수 있는 제품결함 중에 하나인 개재물의 존재유무와 결함요인을 파악하는 데에는 분석기술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관련 제품에 대해서는 항상 정확한 개재물 평가기술의 확립과 평가기술의 축적이 확립되어 있어야 한다.
□ 강중의 개재물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주로 화학적 분리추출법 및 입경분포 측정법, 현미경관찰법, 초음파법이 있고, 그 외에 신속법(迅速法)을 중심으로 하는 평가법으로 스파크 방전발광법, 융해추출법, 산소분석을 이용한 산화물계 개재물 분석, 레이저 이용분석법, 용강 중 개재물의 직접검출법이 있다. 실제로 개재물을 평가하는 데에는 상기의 방법에 대한 장단점과 경제성을 완전히 파악하지 않고서는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없다. 항상 새로운 정보수집과 분석기술의 정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현재에는 단일 방법으로 개재물이 양, 조성, 입경,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전체의 정보를 높은 정확도로 얻을 수 있는 것은 없다.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 방법을 조합시켜 평가하고 있다. 본문에서 소개된 기술도 최선의 기술이며 범용화되어 있다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앞으로 개선과 연구개발에 관한 노력을 집중시켜 실용화하는 데에 만전을 기하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풍부한 정보를 높은 정도로 얻으려고 하려면 현미경관찰과 화학적 추출분리와 같은 수 시간에서 수 주간단위의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향후에는 장시간을 요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하고 간편화된 혁신적인 개재물 검출기술의 출현이 기대된다. 예를 들면 EB법과 OES-PDA법과 같은 신속법은 적용 강종의 확대와 한층 더 앞선 고정도화에 필요한 기술로 생각된다. 특히 신속법으로서 강 개재물의 직접분석에 ESZ법과 같이 화학조성 정보도 부가된 신기술의 출현이 기대된다.
- 저자
- Hiroyuki KOND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90(10)
- 잡지명
- 철과 강(C08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58~765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