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슘합금 부식방지 표면처리(Corrosion Protective Surface Treatment for Magnesium Alloy)
- 전문가 제언
-
□ 마그네슘은 공업적으로 화성처리, 양극산화처리, 도금, 진공증착 등의 표면처리를 하고 있다. 이중 도장의 하지처리로서는 화성처리와 양극산화처리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화성처리는 크롬산염 처리와 환경문제를 염려한 비크롬계 화성처리가 있다. 비크롬계 화성처리는 크롬산염 처리보다 내식성이 못했으나 최근에는 많은 비크롬처리계 화성처리가 개발되었으며 거의 동등한 내식성이 얻어지고 있다.
□ 양극산화처리는 내식성은 화성처리 피막보다 5~20배 그 이상 우수하다. 그러나 양극산화피막은 절연성이 있으므로 직접 도금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일부에 양극산화처리 후, 촉매성을 부여하는 팔라듐 처리를 하여 무전해 도금+전기도금을 하였다.
□ Hino와 Hiramatsu가 개발한 도전성 양극산화처리는 피막 자체가 도전성을 가지고 있고 내식성도 우수하며 마그네슘 케이스의 도금하지피막으로 사용하여 직접 도금이 가능하다. 이 산화피막은 종래의 공법으로는 얻을 수 없는 단순한 공법으로 내식성이나 밀착성이 우수한 프로세스의 구축이 기대되고 있다. 이 도전성 양극산화처리기술은 Dow법보다 우수하여 앞으로 많은 수요가 기대된다.
□ 마그네슘은 경량성과 비강도성이 높아 그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나 내식성이 부족한 재료이므로 휴대전화, 컴퓨터노트북 등의 케이스나 자동차의 외장부품 등으로 사용될 때에는 도장을 포함한 표면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저자들이 개발한 이 도전성 양극산화처리 기술개발에 산학관(産學官) 공동으로 일본 경제산업성의 2003년, 2004년도 지역신생 컨소시엄 사업으로 개발하였다 함은 우리도 이와 같은 협동체를 만들어 문제를 해결해가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 본다.
- 저자
- Makoto Hino ; Minoru Hiramats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34(10)
- 잡지명
- Alutopia(B64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6~21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