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속과 복합재료의 접합기술 개발(Development of Comeld)

전문가 제언
□ EB의 조사로 수백 개의 2mm 높이의 스파이크 상의 돌기는 약 10초 정도로 성장시키면 만들 수 있다. 가까운 장래에 레이저프로세스로 혁신적인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EB에 의한 미세표면개질(Surfi-Sculpt)은 가장 전망이 밝다고 말할 수 있다. EB의 조사로 우선 고성능을 가지는 표면개질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어서 다른 재료들과의 코팅 등에 전처리 기술과 비금속에의 적용도 동시에 연구개발 중이다.

□ 수많은 스파이크 상의 돌기를 가진 금속표면은 금속과 복합재료의 접합(Comeld), 접착제 공법의 강화, 금속과 수지의 몰드 성형, 미세영역의 공력(空力)ㆍ유체역학적, 방열특성이 우수한 표면의 형성, 인골 등을 배경으로 한 생체친화성이 높은 표면, 앵커(anchor) 효과를 이용한 기계적 접합, 미세구멍을 이용한 화학반응의 촉진, 촉매, 연료전지, 필터의 제조 및 기계적, 전자기적, 열적, 화학적 특징을 가진 특수 미세기능의 표면형성에 활용이 가능하다. 많은 설계자에 의해 향후에 응용할 수 있는 분야이므로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

□ Comeld 접합부는 파괴과정에서의 변형저항이 Comeld의 에너지의 흡수력을 생기게 하는 원리로 되어 있다. Comeld 접합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파단에 이르기까지의 흡수에너지의 모이는 정도가 종래대비 2배 이상이 되어 파단은 서서히 진행되어 갑작스럽게 일어나지 않는다. 더욱이 파괴의 과정에 소음의 발생이 있으므로 파괴에 달하는 전조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중요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 부합되는 실제의 적용분야를 찾아내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TWI에서는 금속과 복합재료의 종류에 따른 접합법의 개발을 목표로 하는 연구개발을 주관하고 있다. 금속의 혁신적인 표면개질기술을 응용한 코멜드(Comeld)이라고 부르는 금속과 복합재료와의 새로운 접합기술은 비약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접합부의 초기의 인장시험결과는 매우 양호하여서 향후의 연구개발성과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이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통하여 개발참여자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프로젝트에의 참가를 기다리고 있다.
저자
Tetsuo Fuku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2(8)
잡지명
용접기술(A114)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6~90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