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절감 설계에서 전기설비의 검토항목(The Examination Item of the Electric Installation in Energy Saving Design)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 절약과 효율적 이용을 위한 건물의 전기설비의 설계는 양적, 경제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발전 부문이나 조명설비, 고도의 운전 제어나 에너지 관리가 가능한 BEMS 기법을 도입하는 것이 좋다. 민생용 건물은 용도에 따라 소비특성이 다르므로 이를 설계에 고려해야한다.
□ 열병합 발전 시스템(CGS)은 부하패턴의 정확한 예측이 필요한데, 연간의 시각별 전력, 배열이용 등 열 부하를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또한 발전기용량이 가장 중요한데, 발전기 용량과 최대수요전력의 비는 30%~50%정도를 고려한다. 이어서 원동기의 선정은 여러 가지의 요소 중에서 NOx의 규제에 중점을 두며, 배열회수 이용과 제어 등이 설계에 고려해야할 중요한 항목이다.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계통연계 방식과 독립(계통분리) 방식으로 대별되는데, 전자의 경우 건물 측의 사고가 상용전력 계통으로의 파급을 막기 위한 보호 장치가 필요하다. 태양전지는 단결정형, 다결정형, 아몰퍼스형이 있는데, 기본적으로 일조조건이 좋고 주변건물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마당이나 지붕, 벽에 설치하는데, 발전규모의 검토가 선행되어야한다.
□ 조명기기는 공조에너지 다음으로 많이 소요되는 에너지로서, 램프 효율, 효율이 높은 광원, 광학 손실이 적은 안정기와 광학부품을 사용한다. 적절한 조도와 조명방식, 그리고 센서를 이용한 작업 시와 재인상황을 고려한 제어로 효과적이고 쾌적한 조명이 이루어지게 배치한다. 본고는 빌딩건축 시의 전기설계에 대한 대강을 기술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도 대형건물은 상당히 시스템화 되어 있으나, 중소형은 종래의 방식을 답습하는 점이 많으므로 컴퓨터를 활용하는 설계기법의 채용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저자
- Mitsuru Sai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50(9)
- 잡지명
- 전설기술(A09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23~28
- 분석자
- 손*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