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력용 콘덴서의 열화 요인과 열화 진단 방법에 대하여

전문가 제언
□ 전력계통에서 부하는 임피던스 부하로 지역율로 되어있는 것으로, 전력용 콘덴서를 회로에 삽입하여 역률 개선에 이용되고 있다. 또 콘덴서에 흐르는 전류는 주파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고조파 전류의 증대를 억제하기 위하여, 또는 콘덴서 투입 시에 돌입전류가 크기 때문에 이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직렬로 리액터를 삽입한다. 그러나 개방 시에는 콘덴서는 전압최대치로 충전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방전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취급 시에는 주의하여야 한다.

□ 전력용기기인 변압기의 일반적인 수명은 30년으로 보고 있으나, 콘덴서는 정상적인 사용 상태에서 15~20년 정도로 설계·제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20년 이상 운전되고 있는 콘덴서는 열화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 중 절연유 중에 용존 수소(溶存水素)가스량과 특성열화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발생가스량이 많을수록 특성저하가 큰 경향이다.

□ 또한 절연유 중에 H2량, 고온손실률 및 정격전압인가 시의 부분방전의 유무가 열화진단에 유효한 것이 판명된 것으로, 현지에서 실시하는 열화진단방법으로 절연유가스분석을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초음파센서에 의한 부분방전 측정기술이 개발 중인 것으로 새로운 열화진단기술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콘덴서의 수명은 콘덴서의 절연재료에 가하여지는 전위경도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인가전압과의 관계에서는 정격전압과 사용전압과의 비의 5승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과전압에서 사용하게 되면, 수명이 단축되므로 사용전압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콘덴서 전극간의 절연을 지배하는 것은 상용주파전압으로 한정되어 있으나, 뇌에 의한 충격전압 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저자
NICHIKON C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4
권(호)
56(9)
잡지명
생산과 전기(A089)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8~13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