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내 휴대용 전화기의 화상처리기술 현황(Present and Future of Cell Phone Applications Using Image Processing)
- 전문가 제언
-
□ 일본에서 휴대용전화기에 탑재된 카메라의 화소 수는 현재 약 200만 화소이나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추후 500만 화소 이상이 예상되고 있으며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광대역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화상통신과 관련된 서비스의 증가가 예상된다.
□ 휴대전화용 화상처리는 향후 서버형과 클라이언트형을 조합한 복합형 화상 처리가 보편화되고 또한 속도 향상을 위해 ROM화가 예상되는데, 여기에서는 2차원 코드인 GQ 코드에 대하여 그리고 화상통신에 필요한 언어로는 자바(Java), C++가 활용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 향후 서비스의 다양화로 인하여 이를 이용한 많은 응용 프로그램을 예상할 수 있고, 특히 전자투시에 의한 ID 인식, 비쥬얼택(Visualtag)에 의한 ID 인식과 같은 시스템의 개발이 증가될 것이다.
□ 유비쿼터스(ubiquitous) 사회의 중심에 있을 휴대용전화기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뿐만 아니라 화상통신 기능으로서 그리고 기술발전 및 소비자 요구로 인하여 고기능화, 다양화가 더욱 심화될 것이다. 더욱 얼굴인식, 홍채인식, 지문인식, 3차원 등의 기능 추가도 예상해 볼 수 있다.
- 저자
- Masayuki Tsuda ; Toshiki Is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58(7)
- 잡지명
- 영상정보미디어학회지(A08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884~888
- 분석자
- 박*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