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차체의 알루미늄화와 적용 기술

전문가 제언
□ 최근 지구환경문제 대응 및 경제성 추구와 함께 안전성 · 주행성 제고를 위한, 자동차의 Al화는 엔진 등의 주물로부터 시작되어, 최근에는 판재, 압출재나 단조의 전신재를 사용한 Al 부품이 증가하고 있다.

□ 현재 일본은 자동차용 고장력강에 대응하는 고성형성 Al 판재 개발, Al/Cu 하이브리드재료 개발 및 고신뢰성 다공성 Al 재료 개발의 순으로 역점을 두고 있다.

□ 강도, 성형성, 표면성상 및 접합성 등 다양한 성능이 요구되는 자동차 패널용 Al합금은 초기에는 2000계(Al-Cu-Mg계)와 7000계(Al-Mg-Zn계)가 채용되었지만, 현재는 주로 5000계(Al-Mg계)와 6000계(Al-Mg-Si계)가 사용된다.

□ 자동차 판넬용의 5000계 Al합금은, 고성형성을 지향한 일본에서 개발되어서 1995년에 국제등록합금으로 실용화되었으며 최대 과제는 성형가공시의 SS(Stretcher Strain)마크 발생 억제였다. 자동차 아웃패널용 합금은 열처리와 가공(압연, 교정)의 조합에 의해 SS마크의 발생을 억제했다. 한편 표면성상 요구가 낮은 내부 패널에는, 5182, 5052 등 범용의 5000계도 사용되었다.

□ 북미와 유럽에서 개발된 6000계 Al합금은, 도장 소부시에 강도가 커지는 bake hardening성이 있으며, 6000계의 과제는 5000계와 강판에 비해 성형성이 낮다. 최근 아웃패널에 대한 헤밍가공성이 크게 요구되어 이 과제에 대한 굽힘 가공성의 향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향후 Al 패널의 용도 확대을 위해서는, 디자인의 자유도 확대를 위한 재료 자체의 성능 향상과 재료에 적합한 가공기술의 개발과, 원가절감을 위한 계속적인 패널용 합금(화학조성)의 통합, 공정의 합리화 및 재활용 확대 · 효율 제고 등의 기술개발과 함께 상용화를 위한 경제성 제고가 수반되어야 한다.
저자
Hideyuki U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52(8)
잡지명
공업재료(A028)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6~30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