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허블 우주망원경의 운명(Hubbles Fate)

전문가 제언
□ 지금 이 순간에도 560km 상공에서 매 한 시간 40분마다 지구를 선회하고 있는 미국 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은 수많은 별들과 은하계의 선명한 영상들을 촬영하여 우리에게 보내줌으로서 우주의 신비를 밝혀주고 있는 20세기 최대의 과학기술적 도구로 평가되고 있다.

□ 우주라는 극한환경에서 이 망원경이 정교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고속으로 지구를 공전하고 있는 망원경이 우주의 한 지점에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정밀한 자세제어, 광학측정, 신호처리, 원거리 통신 등 그야말로 현대 과학기술이 총 동원된 종합과학시스템이라는 점에서 이 망원경이 많은 과학기술자들의 찬탄을 사고 있다.

□ 이 망원경의 지속적인 성능유지를 위한 셔틀우주왕복선의 비행임무가 Columbia호의 참사로 중단된 이후 이 귀중한 망원경의 수명 연장을 위한 논란과 우려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 이와 때를 맞추어서 미국 화학학회에서 발간하는 Chemical & Engineering News 최신호에서는 이 망원경이 발사되고 제 기능을 발휘할 때까지의 우여곡절과 이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NASA 과학자들의 노력 등을 표지기사로 자세하게 소개하여 놓았다.

□ 천문학은 우주의 진리를 탐구한다는 기본적인 목표 이외에도 인류의 물리학적인 이론들을 확인하는 수단으로도 이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초과학 그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1840년 영국의 애덤스와 불란서의 르베리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천왕성의 궤도가 정상궤도에서 벗어난다는 사실로부터 중력에 의해서 이 행성의 궤도에 영향을 미치는 미지의 행성이 존재하리라고 예측하고, 그 미지의 행성이 어디에 있는가를 계산하여 해왕성을 발견하게 됨으로써 뉴턴의 만유인력(萬有引力)의 법칙이 그야말로 우주 전체를 포함하는 법칙이라는 사실이 입증된바 있다. 또한 빛도 거대한 질량에 이끌린다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1919년 개기일식 관찰결과 확인된 사실 등이 천문학의 중요성을 말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이 기사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바가 크다고 하겠다.
저자
Morrissey, S.R.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4
권(호)
82(48)
잡지명
Chemical & engineering n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8~23
분석자
이*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