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극한환경 미생물의 생태계와 특수 미생물의 탐색

전문가 제언
□ 현재 알려진 미생물은 전체 미생물의 7% 미만으로 추측된다. 대부분의 미생물이 발견되지 않은 이유는 이들이 극한환경에 서식하기 때문에 분리·동정하는 방법을 아직 개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구자원의 고갈로 인류의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해양생물자원은 인류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가 해양자원에 더욱 적극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극한환경 미생물의 검색은 물론, 날로 수요가 증가하는 기능성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소재를 집중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인 연구방향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국내의 해양생물자원을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연구현황(2001)은 미세조류를 포함한 해조류(303)와 어류(140)를 포함해 총 540건이었고, 특허출원 건수는 어류(32)·해조류(29)·수생미생물(20)·갑각류(8)·패류(7)·무척추동물(5)의 순서였다. 기능성 소재의 연구대상(총 59건)은 펩티드(29)·미네랄(7)·비타민과 지질(각 4)·올리고당(3)·클로렐라(2)·다당류와 식이섬유(각 1) 등이었다. 최근에 각광을 받는 폴리페놀과 뮤코당은 검색에서 제외되어 불분명하다.

□ 기능·활성별 연구동향을 보면, 항균(147)·항산화 활성(134)이 전체의 60% 이상을 점유했고, 항암(86)·항혈액응고(23)·항고혈압(14)·항동맥경화(14)에 대한 연구가 뒤를 따랐다.

□ 한국해양연구원 산하 해양생명공학연구소의 김상진소장(2004)은 향후 10년 이내로 한국의 해양생명연구 수준을 세계 8위로 올리겠다고 부임인사에서 밝힌 바 있다. 2013년까지 2,000억원을 투입하는 “마린바이오21사업”에 선정된 3개 연구과제 중 하나가 해양생명공학과 관련된 핵심기술과 제품을 집중 개발하려는 것이다. 해저의 저온미생물 유전자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 합성한 단백질로 뇌질환 치료용 의약품을 개발하려는 것이 일차 연구목표이다. 이를 위해 이 분야에 600억원을 투입하고, 서울대․생명공학원 등 17개 연구기관이 공동연구를 추진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K. Takai, F. Inagak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2
권(호)
19(1)
잡지명
Bio Indusr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17
분석자
임*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