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천연색소의 구미시장 동향

전문가 제언
□ 식품산업은 천연 식재료·첨가물·포장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식품산업이 발달하려면 이러한 세 분야가 균형적으로 발전해야 한다. 이중에서 식품첨가물은 적은 양으로 높은 기능을 발휘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식품첨가물은 식품의 보존성·기호성·안전성·영양강화 등을 목적으로 첨가하는 주로 화학합성품을 지칭한다.

□ 식품첨가물에 대한 안전성은 철저한 검증이 필요한데, UN의 WHO/FAO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합동전문가위원회(JECFA: Joint Expert Committee for Food Additives)에서 규격·규정과 안전등급을 최종 판정한다. 이 단체는 일정 주기로 모든 식품첨가물의 안전등급(GRAS)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각국은 JECFA기준을 참고하여 자국에 맞는 식품의 규격과 기준을 만들어 운용한다.

□ 우리나라의 식품공전에는 착색료를 천연색소와 인공색소로 대별하고 있다. 천연색소는 동물성(Hb·Mb)과 식물성(chlorophyll·carotenoid·anthocyanin·flavonoid·antoxanthin)이 있고, 인공색소는 물에 용해되어 착색효과를 나타내는 타르계 색소와 수불용성의 분산성 알루미늄 색소계로 나눈다. 전자는 콜타르에서 얻은 방향족 탄수화물이 주원료로 독성이 있어 식용은 매우 적다. 그러나 식용인 비타르계 색소는 천연계(β-carotene·anatto·curcumine·caramel·chlorophyll)와 비천연계(Fe-chlorophylline·Na-chlorophylline·TiO2·CuSO4·Fe2O3)로 나눈다.

□ 소비자의 안전성 욕구 증가로 유럽 뿐 아니라 소득수준이 향상되는 중진 및 선진국에서 천연색소에 대한 수요증가가 확실시 된다. 아울러, 미생물 등의 생물학적 수단으로 합성하는 바이오 색소의 수요도 증가가 예상된다. 식품산업이 전체 산업에서 10% 이상의 매출을 점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천연 및 바이오 색소의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더욱 연구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이러한 색소는 식품 뿐 아니라 잉크젯, 바이오 화장품, 바이오 페인트 등을 포함한 여러 산업분야로 사용분야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저자
Asakura Yok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잡지명
Monthly Food Chemical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9~23
분석자
임*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