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휴대용 전화기가 인체에 미치는 방사영향(A review of radiation effects on human operators of hand-held radios)

전문가 제언
□ 휴대전화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실제로 영향을 끼치는 지는 아직 규명되지 않은 상태여서 관계 법률제정을 놓고 각국 정부와 휴대전화 관련업체, 소비자 간의 줄다리기가 팽팽히 진행되고 있다. 영국 정부의 미성년자에 대한 휴대전화 판매 제한 검토 발표에 이어, 일본 우정성도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세기를 전파법에 명시, 법률적으로 제한한다는 방침을 발표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휴대전화 사용자가 금년 6월 현재 2천5백여만 명에 달하는 상황인 만큼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엄정하고 정밀한 연구조사는 아무리 강조되어도 지나치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다.

□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900MHz 내외의 고주파를 가지며 전기장과 자기장이 동시에 발생되는 전자기파 이지만 전기장의 세기가 자기장에 비해 커 전자파의 영향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주로 전기장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전화로 디지털 신호를 송신할 때 전자파의 출력의 세기는 그리 크지 않지만 문제는 전자파의 소스가 뇌에 밀착된다는 것이다. 인체에 흡수되는 전자파의 작용을 열적효과와 비열적효과로 나누는데 열적효과만 명확히 규명이 된 상태이다. 열적효과란 전자파가 인체에 흡수돼 인체의 온도를 올리는 작용인데 이것은 인체에 해롭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열적효과의 유해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이것은 전자파에 노출된 부분의 면역 기능이나 신경계통에 문제를 일으키고 기억력을 떨어뜨린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의 정보통신부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한국전자파학회, 서울대 의대가 공동으로 전자파 유해여부를 연구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통부는 또 한국전자파학회에서 발표한 권고안을 토대로 전자파 인체 보호기준, 전자파 강도 특정기준, 전자파 흡수율 측정기준, 전자파 흡수율 측정 대상기기 등에 대한 정부안을 확정, 고시할 예정이다. 이와 같이 전자파 흡수가 건강에 주는 영향에 관하여 널리 알려지고 인정된 결과는 없다. 하지만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장시간 저준위 방사에의 노출로 건강에 손상이 없다는 명백한 증거는 없다“는 것이 우세한 판단이다. 그러나 휴대전화의 빠른 보급으로 인한, 건강 손상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는 신중히 계속되어야 한다.
저자
Huynh, MC; Stutzman, W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4
권(호)
47(6)
잡지명
MICROWAVE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2~32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