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소 막 반응기의 발전(Progress in enzymatic membrane reactors - a review)
- 전문가 제언
-
□ 본문은 효소 막 반응기의 성적의 제한요소가 되는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에 대한 극복 방법의 발전과 새로운 효율적인 시스템의 개발을 기술한 것이다.
○ 특히 비재래식 용매에서 효소의 안정성과 높은 수율을 가져오는 새로운 촉매 막에 대하여 강조하였다. 효소 막 반응기의 사용에서 새로이 일체화된 공정(반응과 분리를 동시에 함)과 새로운 경향을 소개하였다.
○ 생물학적 반응기는 비교적 간단하고 조정이 필요한 파라미터는 주로 온도와 pH인 경우가 많다. 그러나 바이오 반응기는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즉 생산성이 낮고 운전비용이 높으며 비활성화로 인한 촉매로서의 활성 손실과 생산된 제품의 질의 변화가 많다는 점이다. 따라서 대량의 원료를 사용하여 대량생산에는 응용하기가 어렵다.
□ 투과성 막을 사용하면 화학 반응과 분리 공정이 자연히 합쳐진다. 구조적인 면에서 볼 때 막은 많은 마이크로 반응기가 모인 특별한 거시 시스템이라 생각할 수 있다.
○ 각 기공은 하나의 마이크로 반응기로 볼 수 있다. 투과성 막에서 가장 문제는 효소를 정확하게 기공의 입구와 마이크로 기공 내에 축적시켜 매우 효율적인 접촉조건을 얻는 것이다.
○ 그럼으로써 기질과 촉매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빠른 반응과 높은 수율, 더 깨끗한 제품을 더 낮은 운전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
□ 효소를 막의 기공 안에 감금하여 기공을 통과하는 기질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따라서 반응 효율을 높이는 이 시스템은 폐수 처리에 매우 유용한 기술이 될 것 같다. 폐수 중의 유독성 물질의 처리에 가장 좋은 방법은 생물학적 분해인데 이제까지는 그 효율이 문제였다.
- 저자
- Rios, GM; Belleville, MP; Paolucci, D; Sanchez, J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242(1-2)
- 잡지명
- Journal of Membrane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9~196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