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권형 모듈과 간격자 - 검토 및 분석(Spiral wound modules and spacers - Review and analysis)
- 전문가 제언
-
□ 화학공학의 분리공정 중 박막분리학회에서는 두루마리 박막엽(薄膜葉)과 분리철망을 일본식 나권형(螺卷形)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실제는 와상형(渦狀形)이 더 근접하다. 왜냐하면 독일에서는 Teppich(카페트) 구조라고 한다. 그래서 오히려 나선형권취(螺線形卷取) 모듈이라고 명명하고 싶다. 여기 모듈의 뜻은 기능단위로서의 부품집합체 한 세트이며 단위조작에서 말하는 유닛과 유사한 규격화된 구성단위이다.
□ 역 삼투압에 의한 담수화에 SWM의 연구와 응용은 우리나라와 같이 물 부족국가나 그와 같은 나라에 plant 수출을 위해서도 연구투자가 절실하다. 이는 설비투자보다도 조업비가 더 수익성에 영향을 주므로 조업조건의 최적화연구가 가장 경제적이고 이 분야의 R & D투자는 과감하게 해야 한다. 이들의 연구에 다음과 같은 것들이 중요하므로 적극 권장한다.
□ 중공섬유 모듈은 나권형 모듈보다 UF(한외여과, 콜로이드용액 여과), MF(초소형 여과)에 더 적합하여 선호하는데, 본 전문위원은 세계 처음으로 17µm의 mesophase pitch로 제조한 hollow carbon fiber를 개발, 특허를 내었다. 만약 이를 이용하면 더 효과적인 분리공정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hollow carbon의 지름을 임의로 조정, 제조가 가능하고,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탄소는 모든 강산 강염기성 수용액에도 사용될 수 있고 부유물의 크기에 따라 투과여부가 결정될 수 있어서 분리공정에 적합하다.
□ Spacer(間隔子)는 separator(분리판)와 같으며, feed는 급수로, 2nd order difference equation의 수치해로 classical Runge-Kutta method 보다 Runge-Kutta-Nyströn(RKN)-method의 algorithm을 권장한다.
□ f(x)=0의 해의 iteration method로서 Newton-Raphson method보다 Secant method를 사용하면 더 쉽다.
- 저자
- Schwinge, J; Neal, PR; Wiley, DE; Fletcher, DF; Fane, AG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242(1-2)
- 잡지명
- Journal of Membrane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29~153
- 분석자
- 이*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