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학반응 도중 유기질 결정의 구조 변화(Structural transformations in organic crystals during photochemical reactions)
- 전문가 제언
-
□ 본문의 주 목적은 광화학반응 도중 X-선 구조 분석 방법으로 감지한 분자의 동태와 유기질 결정의 구조적 변화를 설명하고 검토한 것이다. 광화학 반응 도중 반응 분자와 생성 분자가 결정 내에서 이동과 이웃한 반응 분자가 반응하기 유리한 방향으로 그 위치를 접근시키는 메커니즘까지 간단히 설명하였다. 이 현상은 종국적으로 결정 해체 연구로 나갈 것이지만 본문에서는 이를 취급하지 않았다.
○ 제 6장의 경우 본문은 단위 셀 상수에 대한 것이었는데 분석자는 이를 단위 셀 부피에 대하여 집중하여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단위 셀 부피의 변화는 논리적으로 설명이 되나 ‘단위 셀 상수’는 그 자체가 본문에서 정의되거나 설명되지 않아 그 변화를 설명하는 논리가 이해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 과거에는 결정 내의 광화학 유기 반응에 대한 X-선 구조 연구는 대부분의 경우 반응물질 결정 구조 분석에 국한되어 있었고 이것이 생성물의 분자 구조를 예측하고 설명하는데 기초가 되었었다. 즉 반응원료인 유기질 결정 구조만 알면 그 뒤에 일어날 반응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생성물질의 구조와 성질 또 화학종까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다는 논리였다.
○ 이 이론의 기초로서 Schmidt와 Cohen이 이를 연구하여 ‘위치-화학적 가설’을 만들었고 많은 과학자들은 이것을 응용하여 유기질 결정 안에서 일어날 반응을 미리 해석하고 예측하였다. 이 가설의 중점은 결정 내에서 화학반응은 원자나 분자의 결정 내에서의 이동을 최소화하고 반응 공동(空洞)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진행된다는 것이었다.
○ 본문은 이 가설에서 벗어나 반응 결정의 구조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반응을 다룬 것이다. 따라서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여러 단계의 X-선 구조 분석을 통하여 분자나 원자의 이동이 결코 소규모적이 아니며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에 보이는 결정의 부피 변화도 자세히 설명하였다. 아울러 실험적 결과로 얻은 반응 속도론 데이터는 중요한 것이며 이것이 현재 네 가지 물질에서 더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Turowska-Tyrk, 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17(10)
- 잡지명
- JOURNAL OF PHYSICAL ORGANIC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37~847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