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3 고도 불포화 지방산과 건강유지효과(The health benefits of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 review of the evidence))
- 전문가 제언
-
□ 최근 건강기능식품의 국내 시장규모가 1조원대 이상의 규모로 성장하였으며, 더불어 여러 가지 전문적인 용어와 기능성을 알려주는 많은 수단의 정보전달 매체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일반 국민의 지식수준에서도 “오메가3 지방산”, “EPA", "DHA"라는 용어 및 ”등푸른 생선“이라는 말은 너무나 친숙하게 되었다. 따라서 오메가3 지방산의 대표적인 인체 기능성인 콜레스테롤 감소효과와 관련된 다소 넓은 범위의 심혈관 질환 예방이라는 효과는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 그러나 이러한 국민적 상식 수준의 많은 진보와 아울러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한 구체적인 달성 방법에 대한 제시, 즉 가장 경제적인 방법으로 생선을 일주일 혹은 한달에 어느 정도의 분량을 얼마만큼 섭취하여야 한다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및 권장 식사법의 제시는 거의 없었다. 또한 동양과 서양 및 국가 민족간의 차이에 의한 식습관에는 상호간에 많은 차이점이 존재하고, 이에 관한 기준설정연구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당연히 해결하여야 할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시점이다.
□ 본고에서도 살펴본 바와 마찬가지로 새롭게 밝혀지는 오메가3 지방산의 치료적 효과 중 정신적인 인지력 향상 및 치매예방과 증상 개선효과는 매력적인 것이 아닐 수 없다. 또한 DHA와 EPA의 급원으로서 정제된 건강기능식품 뿐만 아니라 고등어, 꽁치, 청어 등 경제적으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식품원을 일상적으로 섭취하면 예방 및 치료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노령화 인구비율이 급속히 증가되고 있으며, 치매의 발생은 개인적으로도, 가족 구성원간에도 하나의 재앙임에 틀림이 없다. 또한 국가적 예산을 지원받지 못하고 있는 영세한 사회복지 요양시설의 현실을 감안할 때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등푸른 생선 섭취가 하나의 합리적인 건강증진 방안이 될 수 있다.
- 저자
- Ruxton, CHS; Reed, SC; Simpson, MJA; Millington, KJ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17(5)
- 잡지명
- JOURNAL OF HUMAN NUTRITION AND DIETET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49~459
- 분석자
- 윤*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