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토양에서 미생물에 의한 PAH분해 원리(Principles of microbial PAH-degradation in soil)

전문가 제언
□ PAHs는 비분해성 독성물질 및 휘발성 유기물질인 대기 중 오염물질이다. PAHs는 대기 중에 존재하고 이의 생성원은 인위적 및/또는 생물기원적 활동에서 비롯되었다. 발암성/돌연변이성 성질에 의한 생명체에 부정적으로 영향할 가능성과 독성에 의한 부정적 영향 때문에 미국 환경부는 이 PAHs중 16종을 우선오염물질 목록에 포함시켰다. 우리나라의 토양에 존재하는 PAHs농도는 23.3~283μg/kg으로, 평균값은 236 μg/kg으로 조사되었고 이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농도(1~10μg/kg)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이는 특히 철강생산 공장주변에서 채취된 토양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이는 생산과정 중 많은 석탄을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대기 중의 PAHs 오염원은 다양하며 모든 탄소화물의 연소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다. 즉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산업설비나 자동차 배출가스 및 나무의 연소와 같은 인위적 원인, 폐기물소각 시 또는 용광로, 산업시설에서의 연기와 매연, 자연적 요인으로서는 화산, 산불, 원유연소 등이다. 인위적 오염원이 자연적 오염원보다 훨씬 많은 양의 PAHs를 방출하므로 방출량 저감대책은 인위적 억제책 이외에는 실효성이 없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PAHs의 합리적 배출규제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조사사업이 선행되어야 하고, 더 근본적으로는 자동차 배기가스로부터 PAHs의 배출저감을 위한 엔진기술개발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 대기 중 PAHs의 시료채취와 측정에는 많은 문제로 방해를 받아 어려움이 있다. 그 주요 이유는, PAHs는 대단히 복잡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방출되고, 이 물질의 분석 시 동일한 시료에 대해서도 상이한 분석방법에 의한 상이한 결과를 보여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저 농도에서는 더 높은 감도의 분석법이 필요하고, 대기 중 PAHs 시료채취는 필터나 흡착제를 사용하나 이는 대부분 휘발성 물질에는 부적절하여 검출 전에 손실되거나 또는 흡착된 시료를 모두 추출해 낼 수 없다. PAHs 시료채취의 어려움이 인식되어 국제적으로도 시료채취 시스템에 따라서 40%까지 측정결과가 차이가 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러므로 시료채취절차와 방법, 분석기술 및 검출기기 등의 표준화 및 국제간 상호비교분석을 통하여 측정값의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
저자
Johnsen, AR; Wick, LY; Harms, H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5
권(호)
133(1)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1~84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