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무재의 산림및 수생태계에 주는 생물학적 영향(Biological effects of wood ash application to forest and aquatic ecosystems)

전문가 제언
□ 나무재에는 중금속 원소를 포함한 많은 미량 원소 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난분해성인 PAHs나 PCBs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런 물질에 의한 생독성 문제 등은 앞으로도 더욱 깊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나 일반적으로 산림의 나무를 비롯한 식물의 성장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나무재의 적절한 사용량, 산림 토양에 시비한 후의 경과 시간, 나무재의 물리적인 형태, 기후 조건 및 식물의 종류, 식물(나무)의 나이에 대한 사전 검토와 토양에 질소 함량이 충분하느냐에 따라 나무재의 사용이 나무 성장에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고 대처할 필요가 있다.

□ 나무재의 물리적인 형태는 안정 상태인 self-hardened crush ash 형태나 또는 펠렛(pellet) 형태를 가진 것이 산림 토양에 대한 갑작스런 pH 증가로 인한 충격도 없고, 나무재에 있는 여러 가지 영양분의 장기간에 걸친 용해 배출로 식물의 성장에 적합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나무재를 시비하면 산림 토양의 토양 균주수가 증가하여 이것이 나무재의 영양소를 유동화시켜 결과적으로 나무의 성장을 촉진하며 나무재는 또한 산림 토양 속의 미생물 활동을 촉진시키고 토양 미생물의 성장 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주변의 호수와 같은 수생태계에도 이온성 물질의 증가와 식물성 플랑크톤수의 증가 및 pH, 알칼리도, 전기 전도도의 증가라는 변화를 주고 있음을 알고 있어야 한다.

□ 이 글은 현재까지 유럽 북반구의 산림이 많은 나라들에서 시행되고 있는 나무재에 의한 산림 자원의 성장이 이 지역의 산림 경제에 주는 나무재의 역할을 생물 · 화학 및 환경적인 관점에서 검토한 것으로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나무재를 이용한 과학적인 산림 성장 촉진에 대한 역할뿐 아니라 산림 화재로 인한 뒤 처리와 장기 대책 수립에 이르기까지 이용할 수 있으리라고 판단됨으로 이 분야에 연구자들이 참고하면 좋을 것으로 판단한다.
저자
Aronsson, KA; Ekelund, NG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3(5)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595~1605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