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에 대한 황산염공격의 불명한 영역(The confused world of sulfate attack on concrete)
- 전문가 제언
-
□ 콘크리트에 손상을 이루키는 소위 황산염공격(sulfate attack)은 혼돈된 정보와 의견들이 많기 때문에 하나의 통일된 정의가 없고 그 기구와 평가방법에 혼선이 적지 않다.
□ 황산염 공격으로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손상은 화학반응의 결과 생성되는 산물에 따라 손상의 형태도 달라지고 공격에 대한 예방에도 서로 다른 방책이 요구된다.
□ 황산염공격은 황산염이 콘크리트와 접촉하여 존재할 때만 일어나고 손상은 황산염의 함량, 황산염의 농도 그리고 황산염 공급의 지속성과 관계된다.
□ 콘크리트가 황산염에 내성이 있으려면 중요한 것은 낮은 w/c이다. 콘크리트가 잘 압축되고 밀집되어 있지 않으면 낮은 w/c도 소용이 없다.
□ 콘크리트가 황산염 공격에 노출됨으로서 받게 되는 가혹성(severity)의 정도는 콘크리트에 생긴 손상의 범위와 관련시켜 표시될 수 있는데 현재 미국과 영국은 노출을 특징짓는 방법으로 콘크리트와 접촉하고 있는 지하수 중 황산염함량과 콘크리트와 접촉하고 있는 토양 중의 황산염함량을 이용한다.
□ 이상의 요약된 내용들을 종합하면 황산염 공격은 화학적 반응에 반드시 황산염이온이 포함되고 물리적 공격(또는 물리적 황산염 공격)에는 여려 염들의 결정화작용이 포함되는 현저한 차이가 있고 야외에서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손상은 여러 가지 복잡한 요인에 의한 황산염 공격의 결과이므로 크고 복잡한 여러 가지 손상과 파괴 현상들을 조사할 때는 사람에 따라 다른 용어를 사용함이 없이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 손상의 평가기준을 실험실과 야외조사의 자료를 기준으로 통일하고 동시에 새로운 방법도 병행하여 개발해 나가면 혼돈을 피하고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본고의 내용은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Neville, 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4(8)
- 잡지명
-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275~1296
- 분석자
- 이*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