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독성 평가 통계 및 모델의 문제점(Current issues in statistics and models for ecotoxicological risk assessment)
- 전문가 제언
-
□ 본문은 네덜란드의 통계 및 생태독성 작업팀(Netherlands Working Group on Statistics and Ecotoxicology-www.ecostat.nl/wgSandE.htm)이 화합물이 생태계에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는 모델링과 통계적 예측의 현재의 문제점을 검토한 것이다.
□ 현재 환경 표준을 정하는 대부분의 통계 과정은 생물 종의 극히 일부분을 대상으로 실험실에서 나온 결과에 의지하고 있다. 본문에서 생태계에 미치는 화합물의 독성 모델은 통계적인 것으로 다음 네 가지를 검토하였다.
○ 첫째, 실험실에서 한 화합물이 거의 영향이 없는 농도의 결정.
○ 둘째, 단일 종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농도로부터 복수의 생물종이 존재하는 생태계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농도의 결정.
○ 셋째, 단일 화합물의 농도의 영향으로부터 복수의 화합물의 종합된 영향의 평가.
○ 넷째, 자연 환경에서 먹이 사슬의 유독성 전달의 평가.
□ 이 실험은 거의 대부분 화합물의 받아들일 수 있는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 이익인 그 화합물의 제조자들이 비용을 부담함으로써 대규모 설비를 갖추고 많은 비용을 들여 충분한 반복 실험을 하리라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기본적인 맹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받아들일 수 있는 농도 또는 주입량’의 개념은 간단하기 때문에 생태계의 독성평가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본문의 HCp 개념은 실험한 생물종이 생태계에서 무작위로 추출된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성립한다. 그러나 이 가정은 진리가 아니다. 실제로 실험은 척추동물이 주로 대상이 되는데 비하여 무척추동물, 예를 들면 곤충은 그 대표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 본문에서는 단일 화합물이 대부분의 생물 종에게 영향이 거의 없는 농도나 주입량이라 하더라도 어떤 종에는 커다란 개체 수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 저자
- van der Hoeven, 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52(3)
- 잡지명
- ACTA BIOTHEORETIC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01~217
- 분석자
- 김*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