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그린란드생물의 오염물질수준과 시공간적인 경향(Levels and spatial and temporal trends of contaminants in Greenland biota: an updated review)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와 거리로 보거나 국제관계로 보더라도 아무런 연관이 없는 듯이 생각되는 극지나 다름없는 그린란드섬에서의 자연생태계가 중금속물질이나 유기염소물질에 의해 얼마나 오염이 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이 환경적인 측면에서 앞으로 어떻게 변화될 것인지에 대한 문외한의 관심이 가는 것은 우리나라가 남극과학기지에서의 생태를 비롯한 해양연구에 많은 돈과 인원을 투입하고 있는 현실과 비교해도 대단히 의의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며, AMAP와 같은 조사활동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하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본다.

□ 이 보고서를 보면 그린란드섬에서의 자연환경은 비교적 크게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나, 다만 해양에서의 상황은 유럽쪽에 접한 동쪽과 캐나다쪽과 접해 있는 서쪽이 생물에 따라 또는 중금속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볼 때, 이곳에서의 앞으로의 자원개발이나 인접국에서의 산업활동에 따라서는 조금씩 생물자원에 대한 오염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지구온난화현상의 진행으로 인한 빙하의 해빙이나 해수면상승으로 인한 해안의 침식 등 현상은 그린란드섬에도 영향을 줄 것이고, 이로 인해 육지생태계에도 변화가 올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AMAP와 같은 조사활동은 계속되어져 인류의 환경재앙이 오는 것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은 현대인의 책임이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그린란드섬의 육상, 담수호 및 해양생물에 대한 중금속물질과 유기염소물질의 오염정도에 대해 과거 30여 년간에 걸친 조사결과를 종합 검토한 것으로 이 방면에 연구와 관심을 갖는 분들에게 대단히 훌륭한 자료를 제공하리라고 확신합니다.
저자
Riget, F; Dietz, R; Vorkamp, K; Johansen, P; Muir, D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31(1-3)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9~52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