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농산물 관개를 위한 농수 생산성 가치의 재고 (Review of measured crop water productivity values for irrigated wheat, rice, cotton and maize)
- 전문가 제언
-
□ 농업분야에서는 농작물 물 생산성을 높임으로서 적은 물을 소비하면서 더 많은 농작물을 생산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도 이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의 연구에서 농작물에 대한 물 생산성연구는 미비한 수준이며,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에도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관개는 농업 생산에 중요한 기여를 하지만, 충분하지 못한 관개 계획은 토양 침수와 토양의 염화, 알칼리화를 초래하게 되므로 철저한 관개 계획 수행이 요망된다. 철저하지 못한 토양 및 물 관리는 토양을 황폐화시키고 농작물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우리나라는 이미 물 부족을 겪고 있으며, 인구가 늘어나고 물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물 부족을 초래케 될 우려가 있다. 물소비원 중에서도 농업분야는 큰 물소비원이며 농수관리 및 농수의 효율적 이용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 물은 작물의 생육에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강우량이 많은 지대에서는 관개를 하지 않아도 작물이 잘 자랄 수 있으나 많은 경우 자연의 강우만으로는 농작물의 수확량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연평균강우량은 약 1,160mm로서, 양으로 볼 때에는 관개가 필요하지 않으나 연중강우의 분포가 고르지 않아 봄·가을·겨울에는 가물고, 7∼8월에는 연 강우량의 절반 이상이 집중적으로 내린다. 따라서 안정된 다수확을 올리기 위해서 관개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농작물 생산에서 농업수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농수관리정책 점검, 물 사용 효율성 증대를 위한 기술 및 관개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이들 기술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와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는 FAO가 1993년에 농업용수 사용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지구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므로 이의 적극적 활용도 매우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 저자
- Zwart, SJ; Bastiaanssen, WG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69(2)
- 잡지명
-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5~133
- 분석자
- 김*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