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산화소체 증식제-활성화 수용체(PPAR) α - 기대되는 약물학적 표적(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alpha: A pharmacological target with a promising future)
- 전문가 제언
-
□ PPAR-α는 핵 호르몬 수용체 거대과(superfamily)의 일원이다. 이는 여러 지방산에 의하여 활성화되며, 지질강하제 fibrates의 분자표적이다. 이는 또 간에서 지질단백질과 지방산대사를 조절한다. PPAR-α의 활성화는 지방산 흡수를 증가시키고, 많은 유전자를 유도하는데 이중에는 지질 결합 단백질, apolipoprotein, 과산화소체에 관련된 것과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β-산화를 코딩하는 유전자들이 있다. 지방산 β-산화는 정상 심장대사 동적 평형에 주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의 비정상 조절은 심장비대와 심부전증과 같은 병인에 기여한다.
□ 최근의 연구에 의하며 PPAR-α 작용제는 지질의 동적 평형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소염활동과 직접적인 항동맥경화 작용으로 동맥경화 손상의 진전을 감소시킨다. 실제로 PPAR-α 활성화는 항산화 효소를 유도하고, interleukin-6, cyclooxygenase 2와 같은 친염증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며, 핵 인자 kb(NFkB)와 활성화 단백질-1(AP-1)에 의하여 조절되는 신호경로의 부정적 조절로 동맥세포에 있는 내피의 발현을 억제한다. 이것은 더 나아가 혈관 세포 접착 분자와 같은 단세포 모집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한다. 또 조직인자 발현과 단세포의 활성을 감소시켜 동맥경화 손실과 혈전 형성의 감소를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을 일으킨다.
□ PPAR-α는 최근 연구에 의하면 지방산을 산화하는 것 외에 간에 있는 아미노산의 대사를 조절한다. PPAR-α에 의하여 조절되는 유전자를 찾기 위하여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어레이(array)를 사용하고 subtractive hybridization을 사용한 결과 야생 및 PPAR-α가 없는 쥐의 간 RNA에서 PPAR-α는 아미노산의 대사에 관련된 효소의 mRNA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Northern blot에 의한 분석에 의하면 PPAR-α는 아미노산과 요소 합성의 트랜스와 탈아민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끼친다. 이 데이터에 일치하듯이 혈청 요소 농도가 in vivo에서 PPAR-α에 의하여 조절된다.
- 저자
- van Raalte, DH; Li, M; Pritchard, PH; Wasan, K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21(9)
- 잡지명
- Pharmaceutic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531~1538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