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람 배아줄기세포의 수립, 성장 및 응용(Derivation, growth and applications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전문가 제언
□ 사람의 배아 줄기 세포(human embryonic stem cell, hES)는 배반포의 세포 덩어리에서 파생한 분화의 만능성을 가지면서도 분화하지 않은 상태로 무한정 유지되는 세포이다. 이러한 배아 줄기 세포는 줄기세포가 가지고 있는 특성적인 유전자 발현을 통해 식별되고 있으며 높은 텔로머라아제의 효소작용과 생체이든 시험관에서 다른 여러 가지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그래서 이러한 배아 줄기 세포는 여러 가지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이식 세포로 발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면서 불임환자를 돕기 위해 얻은 배반포를 이용하여 배아를 추출 증식과 분화를 유도하는 연구가 여러 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아는 사람의 복재가능성과 배를 파괴하기 때문에 윤리적인 논란도 대두되는 것이다.

□ 그러나 국내에서는 다른 나라에 비해 줄기 세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배아 줄기 세포주를 설립하고 있으며 세포주 활용에 이바지 하고 있다. 냉동보관 되어 폐기처분 예정인 배반포를 이용, 배아 줄기 세포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하거나 사람의 난모세포에 체세포 핵을 이식하여 세포주로 배양에 성공한 예는 좋은 결과로 생각된다. 포유동물에서 난모세포는 미토콘드리아를 내포하고 있고, 세포분열 과정에 방추사의 기능이 중요한 필수 기능으로 인식되어 핵 치환이 어려운 것으로 생각해 왔다.

□ 그러나 앞으로 사람의 배아 줄기 세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윤리적인 면은 고사하고 기술적인 제한도 많은데 그 중 임상에 적용할 때를 생각하더라도 이러한 사항은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계속해서 분화하지 않은 상태로 배양하기 위해서는 영양을 공급하는 세포(feeder layer)가 있거나 동물에서 유래한 조성분이 필요한데 이러한 조성은 병원균을 유입할 위험을 초래한다. 또 배아 줄기 세포는 유전적인 안전성이 적다. 따라서 장기간 배양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분화할지 예측할 수 없고 더 나아가 분화된 배아세포는 면역 거부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을 만들 수도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
저자
Stojkovic, M; Lako, M; Strachan, T; Murdoch, 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128(3)
잡지명
RE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59~267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