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 최근의 진전(Avian influenza: recent developments)
- 전문가 제언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에는 A, B, C, D형이 있으며 A는 여러 동물이 숙주이며 조류독감바이러스로 잘 알려져 있다. 인플루엔자 B와 C는 사람이 유일한 숙주이고 D는 매개체가 진드기라는 것만 알고 있으며, 병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조류독감(Avian Influenza, AI)에 대해 1997년부터 2004년 3월까지 검토했으며 과학적인 자료를 근거로 조류독감은 H5와 H7의 혈구응집요소 바이러스황원에 의해 발생하는 병인으로 그 정도가 매독성이든 아니든 관계없이 조류독감으로 정의하고 있다.
□ 그러나 이러한 정의에 대해 승인하기 힘든 면도 있는 것으로 보이며, 조류독감이 1997년까지는 사람으로 옮기는 경우는 아주 제한적이었으나 그 후에는 그러한 사례가 자주 나타나고 있어 이 바이러스의 새로운 변신은 사람에게도 창궐할 위험을 갖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병원성이 약한 조류독감(LPAI)이 1996년 3월부터 발생하여 경기, 전북, 경북 등 3개 지역 5개 종계장에서 확인되었다. 그때부터 1988년도까지 2년간 국내 LPAI AI의 공식적인 국내 발생보고는 없었다. 그러나 1999년 초부터 포천지역의 2개 산란계 농장에서 심한 산란저하와 폐사를 동반한 LPAI, H9N2 subtype이 발생하기도 했다.
□ 그 후 경기 인천, 경북, 전북 등 30여개 산란계 및 종계 사육농장에서 AI발생이 확인되어 전국적으로 감염지역이 확산되기도 했다. 또 일부지역에서는 가금인플루엔자가 H5N1형인 HPAI(고병원성)으로 확인되기도 했으나 다행히 지금은 방제가 끝난 것으로 보이나 다시 발병할 위험이 있다는 보도도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저자
- Capua, I; Alexander, DJ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33(4)
- 잡지명
- AVIAN PATH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93~404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