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암 억제 유전자 p53과 DNA 바이러스(Human tumor suppressor p53 and DNA viruses)
- 전문가 제언
-
□ 현재 알려진 암의 대부분에서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혹은 p53의 활성 조절에 관여된 여러 유전자의 변이가 관찰된다. p53은 사실상 거의 모든 세포성 암의 발생 및 진행을 억제하는데 핵심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반면,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p53이 활성화되었을 경우 역시 세포의 생존에 치명적이다. p53의 활성 조절경로에 대한 분자수준의 분석은 암 발생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는 물론 새로운 치료제 및 치료요법개발에 필수적이다.
□ 미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의 보고에 따르면 p53은 화학/방사선치료에 대한 민감성 결정에도 중요하다. 또한 세포 내 p53의 상태는 정상세포와 암세포를 구별하는 중요한 척도가 되므로 p53은 정상세포는 보호한 채 암세포만 특이적으로 소멸시키는 신약개발의 주요 타겟이 되고 있다. 예컨대 Taxol은 대규모 스크리닝을 통해 돌연변이 p53을 지닌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사멸시키는 화합물로, Pifithrin α는 방사선 치료동안 정상세포는 보호한 채 암세포 사멸을 증대시키는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최근에는 생물정보학과 구조결정학, 대규모 화합물 스크리닝 등을 통해 이들의 암세포 특이성과 약리활성을 증진시키려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 중이다.
□ 암 유발과 관련된 일부 DNA 바이러스 역시 직 · 간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p53의 전사활성을 저해하여 세포의 암화를 촉진한다. 따라서 이들 바이러스에 의한 p53 활성 조절 기작과 이에 관여된 새로운 인자의 동정, 손상된 p53 활성을 다시 회복시킬 수 있는 신물질의 개발은 막대한 경제적 효과는 물론 암 치료를 통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핵심적인 공헌을 할 것이다. 수년간 주목받고 있는 CP-31398과 Prima1은 손상된 p53의 활성을 회복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아데노바이러스 ONYX-015와 같이 p53이 변형된 세포에서 선택적으로 복제하는 바이러스 운반체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요법이나, 항체나 면역세포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p53을 선택적으로 인지하여 제거하는 면역요법, 그리고 siRNA를 이용해 특정 p53 타겟 유전자나 조절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등 다양한 치료법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저자
- Collot-Teixeira, S; Bass, J; Denis, F; Ranger-Rogez, 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14(5)
- 잡지명
- REVIEWS IN MEDICAL VIR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01~319
- 분석자
- 황*룡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