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외주에 대한 리스크관리(Risk Management for Acquisition of Custom Software)

전문가 제언
□ 공공기관, 연구소, 기업이 새로운 사업에 착수하려할 때 프로젝트의 납기단축, 효율적 추진을 위해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국내외의 전문기관/회사/대학 등에 발주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 특히, 최근의 기술적 조류는 기술의 융합화, 시스템화, 집적화, 대형화이다. 많은 전문기술이 필요한 이러한 기술 분야를 어느 한 조직에서 모두 보유하는 것보다 토털 시스템기능만 보유하고 하부시스템은 외주하는 것이 코스트와 효율성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 외주에 의한 프로젝트의 추진은 외주의 코스트, 품질, 납기 등이 마이너스요인으로 작용하여 전체프로젝트에 미치는 부정적 사례들이 수많이 제시되고 있다.

□ 이 자료는 소프트웨어개발을 외부에 발주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발생할 리스크의 내용과 리스크관리대책을 다루고 있으나 일반론적 리스크관리차원의 접근방법도 포함되고 있다. 실제 현장에서의 리스크관리는 리스크식별이 기본이며, 이를 식별할 수 없으면 리스크관리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무엇이 리스크를 유발할 것인가에 대한 식별․판단을 위해 전문 리스크관리조직과 전문 관리자가 필요하고, 리스크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리스크 항목 간 상관표에 의한 조직적 관리체계의 도입은 긴요하다.

□ 국내에서도 각종프로젝트의 발주와 수주는 끊임없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새로운 기술 분야의 연구개발과 융합기술개발을 위한 프로젝트대형화추세는 특정 전문기술 분야에 대한 국내외 발주경향이 증가될 전망이다. 이러한 대형 R&D프로젝트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리스크관리기법 연구와 관리체제도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이 자료는 좋은 리스크관리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저자
TAKANE Hiro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4
권(호)
6(4)
잡지명
Journal of the Society of Project Management(J667)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5~20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