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 베어링의 열유체 윤활 해석 모델(Thermo-Hydrodynamic Lubrication Model fo Journal Bearings)
- 전문가 제언
-
□ 저널 베어링의 속도가 일정할 때, 온도는 점도의 함수인 유량과 유막 두께에 관련이 있다. 점도는 온도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상호 의존적인 양들로부터 신뢰할만한 점도치를 얻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베어링을 회전하는 윤활유가 회전축에서 발생하는 모든 열을 운반한다고 가정하여 유량률 및 베어링의 온도 상승을 예측하였다.
□ 고전적인 등점도(equivalent viscosity) 윤활 모델은 실제로 저널 베어링의 윤활막 중에 존재하는 3차원적인 점도를 가상의 모양으로 한 등가 점도에 치환(置換)시켜 놓은 것으로 계산이 쉽다. 따라서 이 이론이 저널 베어링의 설계에 오래 동안 사용되어 왔다.
□ 저널 베어링이 고속화 되면 유막 온도의 상승에 의해 점도가 낮아지게 된다. 최소 유막 두께가 얇아져서 녹아 붙는 위험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온도 상승으로 베어링 합금의 강도가 현저하게 낮아진다.
□ 저널 베어링을 설계하는 단계에서 최소 유막 두께와 베어링 면의 최고 온도를 가능한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고전적인 등점도 이론은 이와 같은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가 없다.
□ 최근 탄성 열유체 윤활 이론과 난류 윤활 상태에서의 대형 베어링용 난류 열유체 윤활 이론 등이 제시되고 있다.
□ 「저널 베어링의 열유체 윤활 모델」은 고속 저널 베어링의 성능 해석 · 설계에 필요한 열전달 모델에 의한 열유체 윤활 이론을 설정한 열유체 윤활 모델로서 저널 베어링의 실용 설계에 매우 중요하다.
□ 향후 베어링의 성능 예측 정도 향상과 베어링 설계 계산 소요 시간의 단축을 동시에 달성하는 향상된 계산 시스템의 개발 적용할 필요가 있다. 저널 베어링 표면 온도의 고정 예측 모델의 연구 개발, 고체 벽면의 하중 변형 및 열변형을 고려한 탄성 열유체 이론의 개발 정립이 필요할 것이다.
- 저자
- Masato Tanaka ; Kiyoshi Hatakena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9(9)
- 잡지명
- 트라이볼로지스트(A0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714~719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