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형 가공 기술의 최신 경향

전문가 제언
□ 다량생산 제품의 품질을 높이고 소형 고기능화로의 욕구를 달성하여 차별화된 금형기술로 국제 경쟁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존하는 금형 가공기술을 고기능화 하고 고도화하여 정밀도를 높이고 나노 가공기술로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종래의 복합가공의 개념은 선반과 밀링 가공의 기능을 복합화하고 자동 공구교환을 하는 등 다기능화(多機能化)를 위한 것으로 머시닝센터와 같은 것이며 공정집약형(工程集約形)으로 고능률 생산이 주가 되었다.

□ 새로운 개념의 복합가공은 최근 개발된 새로운 기술을 면밀히 분석하여 금형제작에 적용하고 종래의 기술을 접목하여 각각의 기능에 맞는 역할을 분담토록 하여 가공 목적에 맞도록 조합함으로써 또 다른 정밀, 미세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 절삭 가공과 같은 제거 가공법(除去加工法)으로는 사출 금형의 깊은 리브(rib) 구조와 같은 형상은 일체형으로 가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금형을 여러 부분으로 분할하여 가공하는 인서트 방식을 채택하였다.

□ 사출 금형을 분할하여 인서트형으로 제작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일체형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새로운 개념의 복합 가공법이다.

○ 각기 다른 기능을 갖는 적층 조형(Rapid Prototype) 기술과 고속 밀링가공 기술을 복합화하여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서로 보완하여 조형기술과 끝마무리 가공기술의 역할 분담을 한 것이다.

○ 앞으로 기능 분담형의 복합가공, 예를 들어 레이저 가공이나 방전 가공과 기타 절삭가공과의 복합화 등의 연구와 개발로 금형가공의 난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다.

□ 적층 조형과 고속 밀링가공의 복합 가공법은 CAD/CAM 등 컴퓨터에 의한 생산체제로 되어 있어서 금형설계에서 제작에 이르는 전 공정의 관리가 용이하며 납기 단축과 생산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저자
M. ANZA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5(9증간)
잡지명
Tool engineer(B236)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6~11
분석자
이*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