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강판의 실제생산 문제점과 대책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의 연료소비율을 향상시켜 지구의 대기환경을 보호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동차의 중량을 경량화 하는 방향으로 차체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차량의 충돌안전성 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경량이면서도 차체의 강성이 높은 자동차 차체의 개발이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 고강도 강판(High Tensile Steel)은 일반강판에 비해 강도가 높기 때문에 차량의 강성 증가와 경량화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고강도강판은 1980년대부터 차량에 적용되기 시작하여 계속 확대 적용되어 왔으며 자동차회사는 고강도강판의 적용부위를 확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강판의 고강도화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고강도강판은 강도는 높으나 성형성이 좋지 않아 치수의 정도가 불량하고, 성형후의 재료가 탄성이 회복되면서 치수가 변화하는 스프링 백(Spring-back)이 크기 때문에 고정도의 부품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정을 거쳐야만 하는 단점을 안고 있다.
□ 고강도 강재를 적용 시의 탄성복원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대책기술을 검토하고, 동시에 치수의 정밀도를 예측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3차원 형상인 실제 부품의 치수정밀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유한요소법(FEM)에 의한 해석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방법으로만은 확실한 예측정밀도를 얻는 것은 어렵지만 향후에는 FEM 해석방법에 의한 치수정밀도 불량예측 기술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저자
- Takuya MATSU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2(10)
- 잡지명
- 프레스기술(M17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9~53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