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제조업체의 경량화에 대한 도전

전문가 제언
☐ 세계의 자동차 제조업체는 자동차의 CO2 가스 배출량 감축과 높은 충돌 안정성의 실현을 위해 차체를 가볍게 하고 강하게 하는 등 자동차의 경량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ULSAB­AVC(Ultra Light Steel Auto Bady­Advanced Vehicle Concept), ULSAC(Ultra Light Steel Auto Closure), ULSAS(Ultra Light Steel Auto Suspension) 프로젝트에서는 강도와 성형성을 겸비한 선진적인 고강도 강판을 사용하고 자동차의 양산에 알맞은 생산기술인 테일러드 블랭크, 하이드로 포밍, 레이저 빔 용접 등의 성형·용접기술을 조합하여 구조강도 및 충돌안전성이 우수한 경량의 자동차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유럽의 자동차 제조업체에서는 용접 생산성과 용접 품질이 우수한 레이저 빔 용접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자동차 생산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향후 경량 자동차 제작을 위한 알루미늄 합금의 용접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21세기 신 개념의 용접 기술인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기술의 고급 핵심장비와 프로그램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자동차의 경량화에 핵심소재인 고장력 강판의 개발동향은 고강도, 성형성, 레이저 용접성, 저탄소 냉연 TRIP의 변태조직과 합금원소 역할의 연구, Nb, Ti에 의한 탄화물의 형태, Boron 석출물의 효과, 다단계 박판재(multi-stage sheet-pair hydroforming)의 성형성 향상 등을 많이 연구하고 있다.

□ 자동차의 경량화를 위한 용접가공기술은 레이저 빔 용접에 의한 튜브의 하이드로포밍 부재와 패널 부재의 편측용접(one side welding), 용접성이 떨어지는 비용접용 알루미늄 합금의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기술 등을 많이 연구하고 있다.

□ 세계적인 자동차 생산국인 우리나라는 외국과 경쟁에서 이길 수 있도록 자동차의 경량화 기술을 반드시 개발해야 한다.
저자
Kazuyoshi Og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2(10)
잡지명
프레스기술(M172)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8~22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