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삭재 가공의 최신 동향
- 전문가 제언
-
□ 산업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공업 제품이나 일상생활 용품의 제조에 있어서도 고품질 · 다기능 및 경량화 추세가 점증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에는 고기능, 고정밀도화 등이 요구되므로 새롭게 개발된 재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 그러나 이러한 각종 재료들은 재료가 갖는 우수한 성질 이외에 공작 기계의 절삭가공에 의하여 구성부품을 생산할 때 절삭방법 및 절삭속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이와 같은 난삭재의 가공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품의 제조원가 절감과 고품질화를 이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난삭재의 절삭 가공 능률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공작기계의 절삭 공구에 대하여는 공구마모, 절삭저항, 절삭온도 및 절삭칩의 처리 등의 대표적인 피삭성 평가기준이 가공재료의 제반특성과 관련하여 상세 검토가 필요하다.
□ 가공재료의 절삭가공 현상을 종합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재료의 난삭특성을 경도, 인장강도, 연성, 절삭온도에 영향을 받는 4가지 특성치로 분류하고 이러한 4가지 특성치KC(K: 열전달율, :밀도, C: 비열)를 좌표축으로 하는 레이더 차트에 표현하고, 그 면적을 난삭 지수로 설정 분석함에 의하여 언제든지 쉽게, 난삭특성의 지수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난삭재의 가공성 향상의 지침작업과 피삭재의 가공특성 분석에 활용되고 있으며, 주요 난삭재에 대한 절삭가공 기술의 최신 동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가공능률 향상을 위해서는 가능한 한 정(正)의 전단각을 가진 공구로 절삭저항을 적게 하고, 가공 경화 · 가공 변질층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 니켈성분이 포함된 초내열합금의 절삭가공능률 향상에는 회전형 공구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와 같이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구설계와 절삭가공조건 등에 관한 기술력 향상이 필요하다.
□ 티탄 합금의 용착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선삭, 드릴, 엔드밀가공 등에 주로 BN을 첨가한 바인더리스 cBN 공구를 이용하여 부품을 가공하고 있으며, 기타 난삭재의 절삭가공 능률 향상을 위하여 질소(N)를 첨가한 TiN, AlN의 다층 코팅 절삭공구를 이용하는 것이 우수한 경도와 고온에서 내산화성 등을 감안할 때 바람직한 것으로 검토된다. 또한 앞으로도 새로운 코팅재료로 한 난삭재용 공구재료를 개발 사용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저자
- OCHI, Aki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8(9)
- 잡지명
- 기계와 공구(A06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0~16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