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생체분자의 나노공간 고정에 의한 바이오센서 개발
- 전문가 제언
-
□ 근년,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곤충 등 생체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을 인위적으로 모방, 응용하여 이를 공업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생체모방기술(biomimetic technology)의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곤충은 정밀기계로도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미량인 정보를 정확하게 즉석에서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곤충은 사람이 볼 수 없는 자외선이나 들을 수 없는 초음파를 감지하여 자신의 행동에 이용할 수 있으며, 단지 화합물의 한 분자만을 냄새 맡아도 화합물의 종류를 가려내는 고감도의 감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곤충도 있기 때문에 이들의 감각기능을 응용한 바이오센서의 개발은 응용 면뿐 아니라 시장성도 팽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인간을 비롯하여 생물이 가진 오감 가운데 시각, 청각, 촉각은 각각 광, 음, 압력으로 측정이 가능하지만 미각과 후각은 정량적 표현이 어려운 상황이며, 최근에는 곤충의 고감도의 센싱 기능을 이용하여 물질을 감지, 검출하는 바이오센서의 개발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파리의 혀 및 벌의 페로몬 등의 기능을 이용한 미각 및 후각 기능의 센서 개발이 활발하며, 응용분야로는 농업분야, 식품분야, 의료분야 등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이 기대된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민곤 연구원의 바이오센서 기술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의 의료 및 연구용 바이오센서 시장은 2003년 100억 원에서 2005년에는 300억 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현재, 바이오센서 기술은 미국과 일본이 선도하고 있으며, 국내의 바이오센서 기술은 미국의 65% 정도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 저자
- Yasushi Tama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9)
- 잡지명
- 미래재료(J4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8~12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