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불소 광학 수지 광 파이버의 개발과 응용

전문가 제언
□ 광섬유 기술의 발달은 고속, 광대역을 요하는 서비스의 전개에 있어 필수적인 기반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1966년 처음 광섬유 이론이 발표된 이래 오늘까지 광섬유 기술은 타 기술에 비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 해저 통신망을 비롯하여 LAN 등에 급속히 응용되고 있으며 국가 차원의 FTTH 전개 등 향후 시장성이 타 기술에 비해 매우 높다.

□ 광섬유는 굴절률이 높은 매질이 중심을 이루고 주변은 굴절률이 낮은 매질로 싸여 있다. 즉 광섬유의 단면을 살펴보면 중앙의 코어(core) 부분과 이를 둘러싼 클래드라는 부분이 이중 원기둥 형태를 하고 있다. 그 외부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합성수지 피복을 몇 차례 입힌다.

□ 접속이 용이하고 코어 직경이 큰 POF의 재료로서는 일반적으로 아크릴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크릴은 탄화수소 화합물이기 때문에 근적외 영역에서 흡수가 큰 탄소-수소 결합을 가지고 있다. 그 흡수로 인해 통과할 수 있는 광은 가시광 영역에 한정되었다. 데이터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발광(發光)·수광(受光)소자는 석영 광파이버용에서 발전한 것이 주류이다. 특히 1 Gbps 이상의 고속 전송을 고려할 경우 파장 850~1,300nm의 근적외선영역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불소광학수지는 비정질(非晶質)이면서 탄소-수소 결합을 가지고 있지 않아 근적외 영역에서 고속전송이 가능한 근적외 발광·수광소자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게다가 석영 광파이버로는 어려운 코어 직경이 큰 광파이버가 가능하기 때문에 불소광학수지를 코어재료로 한 광파이버는 석영 광파이버와 아크릴수지 광파이버의 우위성을 합한 특성을 갖는다. 일본의 Asahi Glass는 2002년 3월 NTT Advanced Technology와 공동으로 불소광학수지를 사용한 광통신 디바이스 개발을 발표하였다.

□ 지금까지 플라스틱 광섬유는 그 성능 상의 이유로 주로 조명재료로 많이 쓰여 지고 있었으나 수지개발 등을 통하여 성능 개선으로 본격적으로 통신 분야에도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국책과제로 POF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저자
Masaki Naritom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4(9)
잡지명
미래재료(J486)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4~19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