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센서 동향과 세라믹스(Recent Trends in Sensors and Ceramics)
- 전문가 제언
-
□ 최근, 재료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세라믹 재료가 센서용 검지 재료로서 많은 연구가 집중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세라믹스의 특성 때문으로 판단된다.
○ 대부분의 센서는 고온다습하고 반응성 또는 부식성 분위기 등의 가혹한 조건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대응한 재료로서 세라믹스가 가장 신뢰성 있는 재료이다.
○ 일반적으로 재료의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열적, 기계적 특성은 재료 자체의 조성변화로 가능한데, 특히 세라믹스는 조성변화는 물론 미세구조의 제어에 의해 그 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 우리나라의 센서 제조 및 응용 시스템의 제작기술은 재료연구정보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선진국의 70% 이상 수준에 이르렀으나 원료, 소재 개발 및 설계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저조한 실정으로 원천기술의 확보가 시급하다.
○ 국내의 센서의 연구개발 및 생산업체수는 약 250여개(한국센서연구조합 자료)이며, 센서 종류별로 보면 온도, 압력, 유량, 위치, 가속도 등 물리센서가 약 90%로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가스, 습도, 이온 등 화학센서가 나머지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 향후, 센서는 외부 정보를 검지, 해석, 판단,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지능형 센서와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가혹한 환경에서 각종 정보를 검지할 수 있는 극한환경용 센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 센서의 발전방향은 단일소자에서 마이크로 집적화로, 단일구조에서 3차원 계층 구조로, 신호처리에서 지식처리로, 고성능화에서 지능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자
- Noboru ICHINOS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17(9)
- 잡지명
- Materials integration(E13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8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