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터스형 기공성 마그네슙과 그 합금의 제조기술과 기계적 성질(Fabric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otus-type porous magnesium and its alloys)
- 전문가 제언
-
□ 최근 마그네슘과 그 합금은 경량재료로서 여러 종류의 가전제품, 컴퓨터와 휴대전화의 부품, 자동차 자재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한층 더 소재로서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마그네슘을 다공질하면 더욱 더 경량화에 의해서 초경량 금속재료로 된다. 동시에 구멍의 존재에 의한 큰 표면적 등을 이용한 신기능 재료로서도 기대된다.
□ 로터스형 기공성 마그네슘과 마그네슘합금의 제조방법과 품질특성에 대하여 상세히 소개하였으므로, 응고방향으로 신장한 기공이 균일하게 생성된 기공성 마그네슘합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기술의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이다. 현재까지 동, 철, 니켈, 스테인리스강, 은, 금, 탄소강, 주철 등을 기공화하는 데에 성공을 하였다고 한다. 마그네슘합금에 한하지 않고 다른 금속에 대한 합금계의 개발연구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적용할 수 있는 분야의 확장에 주력하여야 하며 빠른 시일 내에 실용합금의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수소분위기에서 용해 후에, 주조법에 의해 일방향 응고시킴에 의해서 응고방향으로 연신된 다수의 기공이 분산된 로터스형 기공성 마그네슘을 제조할 수 있었다. 기공률과 평균기공직경은 수소가스의 압력을 변화시킴에 의해서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기공성이 약 50%의 기공성 마그네슘은 밀도가 약 0.87g/cm3으로 대단히 경량이어서 물에 뜬다. 이와 같이 본 방법에 의한 기공화에 의해서 실용경량재료로서 주목되는 마그네슘을 다시 경량화할 수 있다. 향후에 연구개발을 추진하여 경량화된 마그네슘의 기술을 확립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Teruyuki IKEDA ; Hideo HOSHIYAMA ; Hideo NAKAJI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4(9)
- 잡지명
- 경금속(E05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88~393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