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교량의 실현을 위한 기술개발(Technological developments for realizing aluminum bridges)
- 전문가 제언
-
□ 알루미늄은 지금까지 교량의 높은 난간과 도로의 가드레일 등에 부속품적인 용도 이외에 사회기반구조물의 주요재로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초기코스트뿐만 아니라 사용수명을 고려한 라이프사이클 코스트를 중시하는 최근의 경향을 감안하여 유지관리비용이 적게 드는 알루미늄합금의 이점을 사회기반 구조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시점이다.
□ 현재 세계적으로 많은 교량이 대규모의 보수와 내하중력(耐荷重力) 향상의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 교량의 수리 시에 기본적인 지지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높아져 가는 자동차의 설계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판자체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기존의 콘크리트 상판을 경량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알루미늄 상판으로 대체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에 대비하여 현장적용을 하기 위한 자료조사와 적용기술을 확보하여야 한다.
□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건설된 대부분의 알루미늄교량은 거의 보도교이다. 앞으로 도로교와 철도교로 확장하여 알루미늄합금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알루미늄합금의 재료특성과 구조특성, 나아가 알루미늄재의 제작방법을 반영한 알루미늄구조물의 독자적인 설계법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 교량용 알루미늄상판은 Nippon Aluminum Association에서 개발된 알루미늄상판과 Osaka대학에서 개발된 상판으로 분류하였으며 이 두 가지 방법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알루미늄교량의 실현을 위한 새로운 설계법에 대한 시방서와 교량설계기준을 설정하여야 한다. 특히 마찰교반접합부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검사지침이 필요하며 최종적인 기술완성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 저자
- Ichiro OKURA ; Nobuyasu HAGISAWA ; Setsuo IWATA ; Koji KITA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4(9)
- 잡지명
- 경금속(E05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80~387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