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테크재료 평가에 있어서 진동분광법의 활용(SPECIAL EDITION : Form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fibers) Application of Vibrational Spectroscopy to Materials in Nano-technology
- 전문가 제언
-
□ 유기합성물의 나노재료에 대하여 미세구조를 판별하고 해석하는데 진동분광법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화 되었다고 생각된다.
□ 나노재료의 구조에 있어서 전자배치나 궤도가 물질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재료별로 진동모드의 이론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진동분광법에 의한 계측결과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요소기술의 개발이 요망된다.
□ 진동분광법은 합성물질을 판별하고 물질의 미세구조해석 및 금속의 표면상태분석 등에 활용되고 있는 바, 나노재료의 분자구조 변화과정 및 결합상태에 관한 분광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 진동분광법의 기초가 되는 분자운동의 실시간 순간포착을 위한 연구가 국내에서 수행되어 자극라만 분광법(TSRS ; Transient Stimulated Raman Spectroscopy)이 개발단계에 있고, 임의의 순간에서 분자운동을 펨토초(10-15초)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기대된다.
- 저자
- Nobuo Ikuta ; Etsuo Nishi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24(10)
- 잡지명
- 기능재료(D32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4~59
- 분석자
- 조*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