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전자현미경의 개요와 고분자 나노구조의 관찰(Introduction of Three-dimensional TEM and Application for Polymeric Materials)
- 전문가 제언
-
□ "3차원 전자현미경의 개요와 고분자 나노구조의 관찰"에서는 3차원 전자현미경의 원리와 고분자에 의한 응용 사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TEM과 CT는 역사가 길지만 기술적 측면만으로 본다면 3차원 전자현미경은 이러한 것들의 여러 가지를 조합시킨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현대의 컴퓨터기술이 융합됨으로서 제품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관찰대상이 미세화되고 복잡화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종래의 관찰법으로서 한계에 달하고 있는 재료분야의 수준을 한 단계 상승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관찰수단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주목되고 있다.
□ 나노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미세영역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을 배경으로 하여 나노수준의 3차원구조를 관찰하고자 하는 요구가 급격히 쇄도하고 있다. 현재 이 요구에 부응하여 나노미터 단위의 구조가 3차원으로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의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 요구에 해당되는 유일한 장치가 3차원 투과형 전자현미경이다. 향후에는 3차원 전자현미경의 원리와 개요를 완전히 파악하여 원하는 분야에서 이용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도록 기술수준을 향상시켜 놓아야 한다.
□ 가까운 장래에 에너지필터를 사용한 3차원지도(mapping)와 STEM- HAADF상에 의한 CT, FIB(구속이온빔)에 의한 시료작성법 등, 3차원 TEM과 최신의 현미경기법이 급속도로 진전될 전망에 있다. 향후에는 나노기술분야의 관심은 더욱 더 높아져 갈 것이다. 따라서 3차원 전자현미경의 필요성도 높아져 가고 있으며 여기에 대한 수요가 한층 더 확산되어 갈 것으로 기대된다.
□ 수년 전부터 투과형 전자현미경상의 CT를 행하는 기술(soft ware)이 네트 상에 공개되어 패키지로서 판매되어 왔다. 3차원 전자현미경장치도 제품화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관련분야에서는 3차원 투과형 전자현미경을 직접 재구성 개발하고 상(像)의 기록을 CCD에 의해서 디지털화하고 자동화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하여서 심도 깊은 나노구조의 관찰과 연구개발에 일익을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 저자
- Hiromitsu Furukawa ; Hiroshi Jinnai ; Miyoko Shimiz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24(10)
- 잡지명
- 기능재료(D32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3~42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