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의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

전문가 제언
□ 휴대전화에 디지털 카메라를 부착하여 화상을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의 존재의의와 가치성이 사용자들에 의해 널리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또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전화는 언제나 휴대하기가 편리하기 때문에 음성통신이 가능한 비주얼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변모해가고 있다. 아울러 휴대전화용 카메라의 현저한 스펙 향상과 메가 사이즈를 초과하는 화소수를 가질 뿐만 아니라 최근에 와서는 가정용 프린터를 연결한 프린트 인터페이스에 대해 컨소시엄이 설립되는 등 프린터와의 친화성도 강화되어 가고 있다.

□ 휴대전화용 카메라의 기능향상을 지지해 온 주요한 부품으로서는 광학계와 촬상소자(撮像素子)를 들 수 있는데, 이들의 기술동향을 언급해 두기로 한다. 먼저 광학계에 대해 살펴보면 휴대전화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첫째, DSC(Digital Still Camera)에는 없는 엄한 내환경성이 있어야 하고, 둘째, 대량단기생산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며, 셋째, 코스트에 대한 매력이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촬상소자에 대해 살펴보면 휴대전화에 부착하기 위하여 첫째, 촬상소자의 저소비전력화, 둘째, 내(耐) 스미어 성능, 셋째, 저소음화가 되어야 한다.

□ 앞으로의 전망으로서 먼저 광학계는 보다 더 적극적으로 렌즈계의 매수를 늘리거나 새로운 재료를 채용함으로써 성능향상을 기해야겠으며, 내충격성에 대한 기술과제와 크기에 대한 과제가 있고, 아울러 가속도 센서가 비교적 고가이므로 코스트에 대한 과제도 중요하다. 다음으로 촬상소자의 성능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기계적 셔터나 조리개 및 감광 필터에 의한 렌즈의 밝기를 바꾸는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소비전력의 저하와 프레임 레이트의 고속화도 과제가 된다.
저자
KUNO, Tetsuy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4
권(호)
42(9)
잡지명
광기술콘택트(N140)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44~449
분석자
이*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