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선천성 심장질환 영역에서의 재생의료(Regenerative Medicine in the Field of Congenital Heart Disease)

전문가 제언
□ 심질환을 비롯한 체내 장기(臟器)의 재생에 대한 연구는 결국 인간의 몸을 구성하는 세포나 장기로 성장할 수 있는 줄기세포를 발견하게 되고 드디어 인간의 배아줄기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는데 성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장차 태아로 자랄 수 있는 배아를 줄기세포로 이용하는 것은 살인행위나 다름없다는 여론 때문에 배아외의 줄기세포의 발견을 위해 노력한 결과 제대혈이나 골수 혈액 등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해 냄으로서 성체줄기세포라고 하는 새로운 계기를 만들어 가고 있다.

□ 다만 이들 성체줄기세포는 골수 등에 매우 적은 수(10만~1억개중 하나)로 존재하며 그 출처에 따라 줄기세포의 종류도 다르므로 이러한 여러 종류의 줄기세포들을 대량배양할 수 있는 다양한 각각의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무균돼지는 인체에 장기를 이식해도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인간면역유전자(hDAF)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바이러스나 균을 철저히 무균적으로 대량 양돈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오히려 장기재생을 위한 빠른 방법으로 유리할지 모른다.

□ 그러나 선천성이나 외상(外傷)에 의한 장기회손 등 급성인 경우에는 이들 장기재생술은 절대적인 치료효과를 볼수 있겠지만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에 의해 손상을 입은 장기는 이를 이식한다해도 근원적인 만성질환의 완치가 없이는 일시적인 치료에 불과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만성질환의 근원적인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제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되었으나 10만개로 추정되는 유전자의 기능 추적은 시작에 불과하다. 만일 이러한 유전자치료가 가능해진다면 이를 병행한 장기재생술에 의해 만성질환의 정복도 멀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저자
Tsukasa Ozawa ; Katsunori Yoshihara ; Yoshinori Takana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20(5)
잡지명
일본소아순환기학회잡지(J530)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99~506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