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질소, 인 제거형 정화조(Development of nitrogen and phoshorus removal johkasou)

전문가 제언
□ 폐쇄성수역에서 일어나는 적조, 녹조류의 이상번식을 억제하기위하여 생활오수의 오염성분인 BOD는 물론 질소, 인 등을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일본 내에서는 생활오수에 의한 부영양화를 차단하기 위해 정화조에 대한 탈질, 탈린 기능도 도입해서 중, 대규모에서는 탈질, 탈린 기능을 가진 정화조가 채택되고 있고, 소규모에서는 탈질기능을 가진 정화조가 채택되고 있으나, 탈린기능은 최근에 개발되어 실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 소규모 탈질, 탈린 정화조 구조는 혐기성여상조, 유동생물 여과조, 처리수조, 소독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동생물 여과조에 탈린을 위한 철 전극 판을 설치하고 있다. 실증실험 결과 철 전극 판에 의한 탈린시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BOD, T-N은 10㎎/ℓ이하, T-P는 1.0㎎/ℓ이하로 안정되게 유지되고 있다.

□ 우리나라도 부영양화로 피해가 많은 광역상수도 수원과 연안해역에 대해서는 조만간 소규모 발생원(단독주택)에서도 탈질, 탈린용 정화조를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아진다. 이에 대비하여 환경부는 미리 제도적인 정비를 준비하고 관련사업 관계자도 이러한 기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저자
Masahiro IMURA ; Eiichi SUZUKI ; Keiji TEDUKA ; Shin-ichi MIZUN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3(9)
잡지명
환경기술(G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66~670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