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막을 이용한 소형 정화조(Small-scale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submerged membrane unit)

전문가 제언
□ 막 분리 활성오니법의 장점으로 설치면적이 적고, 처리수질이 우수하며, 유지관리가 비교적 쉬운데 있지만, 단점으로 초기 투자비가 많이 들고, 동력비 등 유지관리비가 높다는데 있다. 그러나 폭기용 공기를 위한 동력과 막 표면에 cross flow를 일으키는 동력을 겸용하는 유닛이 실용화되어 막 분리가 폐수처리에 확대되어왔다.

□ 폐쇄성수역에서 수질향상을 위해 고도처리가 필요한 가운데 고도처리 정화조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막 분리형 정화조에서도 중규모 정화조는 헤이헤이 7년도부터 실용화되기 시작하였고, 소규모 정화조(5~10인용)는 최근에 실용화되고 있으나, 투자비, 유지관리비에서 크게 제약을 받고 있어서, 일본 내에서는 소규모 정화조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 막 분리 활성오니법에서 막의 폐쇄를 억제하기위해 운전초기부터 활성오니 농도를 3000㎎/ℓ이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고 3개월에 1회 이상 보수 점검과 6개월에 1회 이상 청소 및 약품세정이 보장되어야 한다.

□ 우리나라에서도 고도처리에 따른 부담을 고려하여 막 분리형 소형정화조에 대해서는 보조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고, 막 분리형 정화조 기준을 별도로 법제화할 것이 요망되며, 관련사업자도 기술개발과 함께 판매, 유지관리를 위한 유기적인 조직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자
Kazuyuki HON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3(9)
잡지명
환경기술(G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61~665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