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화조의 기술동향과 유지관리(The trend of technology and maintenance of JOHKASOU)

전문가 제언
□ 일본 내에서 서기 2000년 현재 하수처리장이 1638개소, 정화조 설치기수는 약 900만기에 달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정화조의 역할이 중요하고, 특히 폐쇄성수역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이 희석되어 정화조는 저가격화, 소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 정화조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서기 1978, 79년에 분리폭기방식에 의한 정화조가 선을 보였고, 서기 1985년도에 정화조 대책실이 설치되어, 서기 1987년도에는 「합병처리정화조설치 정비사업」이 창설되고 서기 1988년도에 소형정화조의 구조기준이 시행되어, 보다 일반화되어 왔다. 이와 함께 소형정화조 기술도 발전을 거듭하여 담체유동방식, 생물여과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년 1회 이상 보수점검 및 청소를 부과하고 있다.

□ 정화조는 소규모시설이기 때문에 계절의 수온 변화, 배수량 변화가 크므로 정화조 선정 시 인원산정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일본 내에서도 해당시설의 연면적에 의해 정화조의 크기를 정하고 있으나, 단독주택의 경우에는 「JIS 산정인원 기술적 검토위원회」가 (1)일반주택 (2)소가족주택 (3)2세대, 대가족주택으로 규정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등을 고려할 때, 공공하수도 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정화조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나 점차 고도처리용 정화조로 이행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부가 중심이 되어 소형정화조의 설치기준, 처리공법과 유지관리기준 등에 대해 재검토하고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이를 위해서 일본과 같이 정화조 대책실 등을 설치하여 장기간에 걸쳐 문제를 해결하여야 하겠다.
저자
Takao WATANAB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3(9)
잡지명
환경기술(G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76~680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