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크레인 설계상의 안전대책
- 전문가 제언
-
□ 도시화에 따른 토지의 부족 때문에 토지의 개발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건물은 대형화, 고층화되고 있다. 도심의 협소한 건설현장에서 공사를 원활히 시행하기 위해서는 철골, 철근, 가설재, 조립식 패널, 콘크리트 등의 건축자재를 효율적으로 양중 하여 공정에 맞춘 자재의 공급이 원활해야 한다.
□ 대형 고층건물 건설현장의 공사비절감과 효율적인 시공을 위해서 최신 기계화 시공기술이 도입되어야 하는데 타워 크레인이 그 역할을 충분히 감당하고 있다. 공기단축을 위해 여러 대의 타워크레인이 한 현장에 장착되기도 하는데 각종 자재의 효율적인 양중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타워 크레인 운용상의 안전대책이다.
□ 건설현장에 설치된 타워 크레인이 쓰러지거나 지브가 휘는 등의 사고가 종종 발생하여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결과를 종종 볼 수 있다. 기구상의 결함보다는 과도한 양중물량,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는 무리한 작업강행, 고소근무 운전자의 작업환경 악화 등이 주요 원인이므로 원인에 대한 대책을 세운다면 타워 크레인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 타워 크레인의 권상장치, 기복장치, 선회장치 등 주요 기구는 각종 안전장치가 철저히 되어있기 때문에 크레인의 성능에 충실한 운전을 한다면 안전의 확보가 가능하다. 안전 확보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종일 고소 근무하는 운전자의 작업환경이므로 각종 계기류의 조작이 간편한 시스템과 그리고 쾌적한 운전실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저자
- Haruo Komats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0(10)
- 잡지명
- 건설기계(M16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8~22
- 분석자
- 유*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