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공사의 사고방지대책
- 전문가 제언
-
□ 건설산업은 다른 산업보다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작업환경의 변화가 심하며 인력에 의존하는 공종이 많기 때문에 각종 사고에 의한 인명피해 등 재해발생율이 높다. 시공 중인 고층건물의 붕괴사고, 지하철공사와 같은 터널 굴착현장의 토석붕락사고, 고소현장의 낙하비산물에 의한 사고, 심초공사의 붕괴사고, 지하구조물 파손사고, 교량의 붕괴, 건설현장에 동원된 중장비 및 운반기기에 의한 사고 등 수많은 사고가 건설현장에서 빈발하고 있다.
□ 건설원가절감을 위해 건설공사가 기계화되면서 중장비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중기와 대형차량과 관련된 사고도 점증하고 있다. 대형 토목공사에서 중기 및 차량사고로 발생하는 사망자는 전 건설현장사고 사망자의 약 절반에 이르고 있어 사고방지를 위한 현장 안전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 토목공사와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굴착공사의 표준안전지침, 터널공사(NATM공법)의 표준안전 작업지침, 건설기계의 표준안전지침 등 건설안전지침을 갖추고 있으나 무엇보다도 현장의 철저한 안전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 특히 터널공사는 중기에 의존하는 공사가 많기 때문에 철저한 안전관리가 중요한데 방진마스크 및 방호복 착용, 보행자의 안전통로 확보, 육성신호 등의 일반규칙, 전조등, 비상등, 경음기를 사용한 중기, 덤프트럭 등 공사차량의 규칙, 채굴현장의 폐석처리규칙 등 세밀한 안전관리 규칙을 마련하여 공사현장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저자
- Masafumi Hashimoto ; Eiji Suzuki ; Eiichi Id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0(10)
- 잡지명
- 건설기계(M16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7~42
- 분석자
- 유*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