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수 공사 현장에서 필요한 화학물질 관련 기초지식 : 행정 대책, 그 특성과 인체에 대한 영향
- 전문가 제언
-
□ 언제부터인가 모든 사람들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는 새집증후군 등의 실내공기 오염문제가 도시의 경쟁력을 결정할 만큼 환경가치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 한국도 2004년 5월 30일 「지하생활공간공기질관리법」에서 「다중이용시설등의실내공기질관리법」으로 변경 시행되었다.
□ 이에 따라 이제까지 지하역사와 지하도상가 등 2개 시설에 대해서만 관리되던 공기질 기준이 17개 시설로 크게 확대되며, HCHO 등 5개 오염물질에 대해 실내 공기질 유지기준을 설정해 기준 초과 시 과태료 부과, 환기설비의 교체 의무화 등으로 엄격해진다. 100세대 이상 신축 주택 시공자는 주민입주 전에 오염물질을 측정해 60일간 공고토록 하고, 이는 2004년 5월30일 사업계획 승인 또는 건축허가를 신청한 공동주택부터 적용된다.
□ 새집증후군을 막기 위해 2006년부터 신축 아파트에 대한 환기 시스템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국회 상임위를 통과했다.
□ 국립환경연구원은 2004년 9월 15일 실내 환경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위한 「실내환경연구사업단」을 발족하여, 새집증후군의 주 원인인 건축자재 현황조사로 D/B를 구축하며 연도별 방출시험을 실시한다. 사업단은 2004년 벽지 45종, 바닥재 55종, 페인트 56종, 접착제 59종 등 모두 215종의 건축자재를 시험해,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질 권고기준을 제시할 계획이다.
□ 향후, 쾌적한 실내 공기질 확보를 위해서는, 다중이용시설 형태별 실내 공기질 관리현황의 파악, 실험 측정 분석에 의한 실내 공기질 자료체계의 구축, 오염물질 다량방출 건축자재의 제한기준 설정 확대, 분산 관리되고 있는 실내 공기질 관리주체의 통합 등이 필요하다.
- 저자
- Editorial department of Bousui Journa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5(9)
- 잡지명
- 방수저널(B5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7~51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