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도 구조물 부식방지피복 점검방법과 10년 하자보증제도
- 전문가 제언
-
□ 대도시의 하수도 시설의 보수 문제가 대단히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도시가 발달되면서 대부분의 하수도관 위에 고층빌딩이 세워져 있어 작업조건이 대단히 제한되고 교통문제와 준설 슬러지 처리문제 그리고 보수공사 후 발생되는 쓰레기 처리 문제 등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므로 그 보수공사의 경제적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 그러나 불량 하수도를 방치할 경우에는 누수에 의한 지반 침하 현상과 지하수 오염 등의 문제가 심각하게 야기되기 때문에 그대로 방치시킬 수만은 없는 문제이다. 따라서 하수도 시공 시에는 신중한 재료 선택 및 시공법을 채택하여 부식방지기능이 좋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도록 요구된다. 또한 지속적인 보수관리도 중유하며 하수도 부식방지 기구 및 보수공법에 대하여 다각적 연구를 통하여 보다 항구적인 부식 방지 재료 및 공법 개발이 요망된다.
□ 우리나라의 하수관은 관 재료로서 주철이나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철이나 강관을 하수관용으로 사용할 경우 연결부위의 부식으로 인해 토양 오염의 주범으로 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1970년대 후반부터 콘크리트흄관과 PE관이 사용되기 시작하여 사용되고 있다. 1990년대 서울시에서는 하수도의 완벽한 보수를 위하여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콘크리트관에 PE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로 피복하는 작을을 하였다.
□ 우리나라는 부식에 취약한 하수도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기준이나 설계지침과 같은 제도가 없으며 관련 기술자가 관의 부식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하수관에 대한 부식과 상태는 아주 심각하며 관로의 부식이 환경이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선진국의 사례를 검토하고 현장조사와 실험을 통해 국내여건에 적합한 부식방지 대책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H. MISHIN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5(9)
- 잡지명
- 방수저널(B5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6~91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