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를 이용한 완성형 관리의 제안 - 정보화 시공의 한 형태
- 전문가 제언
-
□ 토목 구조물을 시공 시에는 지반을 다루어야 하므로, 매우 불균질한 토질의 특성에서 설계와 시공과의 괴리가 생기기 쉽다.
□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설계 도면에 따라 현장에 규준틀을 설치하여 수직, 수평을 맞추고 기준 말뚝으로 표시하게 되는데, 현장 계측 단계에서 IT기술을 접목시켜서 오차를 줄이는 것이 정보화 시공의 첫단계라 할 수 있다.
□ 정보화 시공이 최대의 경제성과 시공성을 확보하는 것이라면, 설계 결과물에서 누락된 설계 단계에서 얻을 수 있는 선형 정보를 입수하여 활용하는 것은 설계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공 오류도 줄일 수 있다고 본다.
□ 본 보문에서 일본은 현장 계측에 대하여 미국 Land XML 등의 전자데이터 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써, 기본 선형 계산 시간을 대폭 줄이고 현장 형 관리에서도 임의 단면 계측 시 크게 업무가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아직도 XML Scheme의 공통 포맷화, 상호 교환 가능한 프로토콜(Protocol)의 통일 등 과제가 있으나, 조속히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
□ 이미 우리나라도 한국건설 CALS협회를 중심으로 2003년부터 건설 CITIS 시스템을 추진 중으로 보급 확산시키고 있는데, 현장 계측 및 관리에 대한 이러한 전자 자료도 내부 연계망을 거쳐 발주처까지 실시간으로 전송 관리된다면, 현장 감리 업무 등에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본다.
- 저자
- K. ARITOMI ; K. MATSUO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654)
- 잡지명
- 건설의 기계화(G40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6~20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